노동분야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제가 주휴수당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되나요?(주휴수당 계산기) 안녕하세요. 에스텔입니다. 오늘은 일을 하게 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데 주휴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주휴수당의 뜻주휴수당은 근로자가 1주 동안 소정 근로일수를 개근한 경우, 유급휴일(보통은 일요일)에 대해 지급되는 수당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근로자가 일주일 동안 정해진 날에 빠짐없이 근무했다면, 추가로 하루치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과 함께 도입된 제도입니다. 현행 근로기준법 제55조 1항에는 ‘사용자는 1주 동안 소정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평균 1주일의 1일에 해당하는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2. 주휴수당 조건 및 기준은 무엇인가요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1주.. 알바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나요.(퇴직금 지급 기준) 안녕하세요. 에스텔입니다. 오늘은 퇴직금 지급 기준 및 알바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에는 퇴직금 계산기를 첨부해두었으니 직접 퇴직금을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1. 퇴직금 지급 기준퇴직금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1년 이상을 근무를 해야합니다. 다만 4주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퇴직금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1년 이상 근무를 해야하기 때문에 딱 1년간 근무하고 퇴사하는 경우에도 퇴직금 지급대상에 해당 됩니다. 앞서 언급한 4주간 평균이란 퇴직일로부터 역산하여 4주간 기간동안의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경우 입니다. 월별로 따지거나 입사일을 기준으로 4주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퇴사일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4주를 따져서 계산하게 됩니다. .. 퇴직금 계산기 입사일자 마지막근무일 미산입기간(선택) (4주평균 1주 15시간 미만 기간 등) ~ 마지막 3개월 임금 연간 상여금(선택) 연차 수당(선택) (퇴직일 전 1년간 이미 지급받은 연차수당) 계산하기계산 결과: 이전 1 다음